본문 바로가기

TIL

TIL - 협업 할 때 코드컨벤션의 중요성

오늘은 팀 프로젝트에서 맡은 과제를 거의 해결하고 다른 팀원 분들의 코드를 보면서 개선하면 안 되는 것들을 보고 코드를 수정하면서 개선하면 좋을 것 같은 부분을 여쭤보고 같이 개선하는 날이였습니다. 

그러면서 느낀 점이 코드 컨벤션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저희는 처음 팀 프로젝트를 할 때 규칙을 안 정하고 개인의 브랜치에서 작업하고 병합하는 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PI에서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을 자신에게 맞게 수정하면서 어떤 분은 ID값에 A를 넣고 어떤 분은 똑같은 데이터에 B값을 넣으면서 코드를 전체적으로 작성하면서 시간이 지나고 보니 그 부분에 문제가 생겨서 이를 디버깅하는 과정에서 만약 코드명을 통일화 했다면 빠르게 에러를 잡을 수 있었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팀 프로젝트 과제에 있는 문제점은 헤더랑 푸터를 개인마다 맡은 페이지에 직접 타이핑 해서 공통 헤더로 만들어서 사용하니까 기존에 사용하던 이벤트 리스너가 작동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고 데이터를 받아올 때 데이터를 통일화 하면서 데이터에 수정한 값을 넣으니 그 데이터를 사용하던 다른 분 코드가 작성이 안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if (window.location.pathname.includes('movieList.html')) {
        temp_html = createFilterdCardsHTML(moviedata);
        document.getElementById('movieCards').innerHTML = temp_html;
    } else {
        const categoryHTML  = createCategoryCardsHTML(moviedata);    
        return categoryHTML;   
    }

이런 식으로 조건문을 만들어서 특정 html 주소일 때는 A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나머지는 B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해서 함수를 모듈화 해서 해결했습니다.

첫 번째 문제는 아직 해결이 안되서 내일 이 문제를 해결해 볼 생각입니다.